JavaScript

JavaScript 제어문(loop.1)

wlals5855 2024. 5. 22. 10:02

1. 반복문(loop)

- 동일한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구조

-조건이 만족될 때가지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의 집합

 

반복문의 종류

for, while, do-while

for... in반복문, for...of 반복문

 

(1) 배열

- 여러 개의 변수를 한번에 선언해서 다룰 수 있는 자료형

- 여러 개의 항목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된 데이터 구조

- js에서 배역은 Array객체 

- 숫자형 인덱스를 사용해 각 항목에 접근 가능

 

요소: 배열 내부에 있는 값 

인덱스 번호: 0부터 시작

(인덱스의 끝 번호 == 배열 길이 -1)

 

(2) 배열선언

'변수 | 상수' 배열명 = [요소1, 요소2, .....]

let fruit1 = 'apple';
let fruit2 = 'banana';
let fruit3 = 'mango';

let fruits = ['apple', 'banana', 'mango'];

 

(3)배열 요소 접근하기

- 배열의 각 요소에는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 

- 배열명[인덱스 번호]

console.log(fruits[2]);//  'mango' 출력
console.log(fruits[0]);// 'apple' 출력

 

(4) 배열 길이 확인

- length 속성을 사용하여 배열의 길이를 확인 

- = 배열에 들어있는 함옥(요소)의 수

- 배열명.length

console.log(fruits.length);
// 3 출력

 

1. for 반복문의 기본적인 구조

- 자체적으로 초기식, 표현식, 증감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반복문

- while 문보다는 좀 더 간결하게 반복문을 표현

 

<식 구조> 

for (초기화식; 종료 조건; 증감식) {

표현식의 결과가 차인 동안 실행한 코드

}

 

1) 초기화식(initialization)

- 반복문이 시작딜 때 단 한번만 실행

- 보통 카운텨 변수라고도 부르는 변수르 초기화하는데 사용

- 보통 숫자로 설정된 변수

 

2) 종료 조건 - 조건무(Test / Condition)

- 각 반복 사이클의 시작에서 평가되는 표현식

- 해당 조건이 true면 코드 블록이 실행, false면 반복문이 종료

 

3) 증감식(Increment / Decrement) x++, x--

- 각 반복 사이클이 끝날 때(반복문이 전체 반복을 거쳤을 때) 마다 실행

- 일반적으로 카운터 변수를 증가 또는 감소 시키는데 사용

 

-for문을 구성하는 초기식, 표현(종료조건), 증감식은 각각 생략 가능-

또한, 쉼표 연산자(,)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초기식이나 증감식을 동시에 사용 가능

 

for (let index = 0; index <= 10; index++) {
  console.log(index);
}

초기화식으로 0부터 시작

조건으로 i <= 10가 참인 동안 반복문이 계속 실행

0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콘솔창에 출력

11번을 반복하는 반복문

0~10까지 숫자 정수를 출력하기 위해 i++ 사용

 

2. while 반복문

- 주어진 '조건이 참인 동안' 코드 블럭을 '계속' 실행 

- for문인 초기식, 표현식, 증감식을 분리한 형태

 

<기본적인 구조>

-while문 내부에 표현식의 결과를 변경하는 실행문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그램은 루프를 영원히 반복

>> 무한 루프(infinite loop)

 

while (조건) {

실행할 코드

>> while문을 자성할 때는 표현식의 결과가 어느 순간에는 거짓(false)을 갖도록

표현식을 변경하는 실행문을 반드시 포함 권장

}

 

let index = 0; // 초기화

while (index < 7) { // 조건
  console.log(index); // 0 ~ 7 출력

  index++; // 증감
}

 

3. do-while문 반복문

- while 반복문과 유사, 조건을 확인하기 전에 먼저 코드 블록을 실행

- 코드 블록이 최소한 한 번은 실행 보장

 

<기본적인 규조>

- do { 

실행할 코드

} while (조건);

index = 0;
do {
  console.log(index);
  index++;
} while (index < 5);
// 0부터 4까지 출력

 

<반복문과 조건문 함께 사용>

for (let i = 0; i <= 10;  i++) { //1부터 10까지 반복 (10번 반복)
  if (i % 2 === 0) { // 짝수만을 조건식으로 true값으로 코드블럭 실행
    console.log(i);
  }
}
 
//  2, 4, 6 ,8, 10 -출력값